“남부권 문화예술 중심지인 진주시가 최적지”
황희 문체부 장관 수도권 입지 발언에 따른 반발
10여 곳 지자체 미술관 유치경쟁
[단디뉴스=이은상 기자] 황희 문화체육부장관이 이건희 미술관의 입지로 수도권을 염두에 둔 발언을 하자 진주지역 문화예술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진주시 이건희 미술관 유치위원회와 진주문화원, 한국예총 진주지회 등은 26일 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건희 미술관 수도권 건립’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이날 “문화분권을 통한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이건희 미술관이 반드시 남부권에 유치되어야한다”며 “삼성의 기업가 정신을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대한민국 기업가 정신의 수도인 동시에 남부권 문화예술의 중심도시인 진주시가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위한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반발은 황 장관이 언론사 인터뷰에서 “미술관을 지방에 둘 경우 ‘빌바오효과(스페인 발바오에서 미술관 유치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따른 것)는 나타나지 않고 유치경쟁 과열 등으로 국고손실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 것이 발단이 됐다. 황 장관은 이건희 미술관 신설 입지 선정과 관련, 접근성이 뛰어난 수도권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진주시를 비롯해 이건희 미술관 유치에 나선 비수도권 자치단체들도 이 같은 환장관의 입장에 반발하고 있다. 고(故) 이건희 회장 출생지인 대구시와 고(故) 이병철 회장 출생지인 의령군,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유치를 준비해온 창원시를 비롯해 부산·세종·여수시 등도 불편한 기색을 표했다.
반면 수도권에서는 이를 반기는 분위기다. 수도권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과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난 서울 용산구를 비롯해 삼성전자 사업장이 있는 경기 용인·수원·평택시 등이 이건희 미술관 유치전에 적극 나섰다. 이건희 미술관 유치에 나선 자치단체는 모두 10여 곳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진주시는 이건희 미술관 유치가 확정되면 현 국립진주박물관을 ‘이건희 미술관’으로 탈바꿈하고, 국립진주박물관 신축 예정지(구 진주역 철도부지)에는 ‘이건희 특별관’을 추가로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 24일 진주국립박물관, 경상국립대, LH 등과 함께 이건희 미술관 유치 및 국립진주박물관 부지 활용에 관한 협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