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집 앞 곳곳에 반대 깃발 나부껴
관련 소송 진행, 이주택지 신청자는 0명
진주시 “설득해 사업추진 계속할 것”
[단디뉴스=김순종 기자] 망경동 일원에 최근 못 보던 깃발이 내걸렸다. “진주시 탁상행정 망경동은 결사반대” “우리 삶의 터전, 희망으로 만들자” “망경동이 역사이고 문화다” 남강변 다목적문화센터 추진에 반대하는 뜻을 명확히 하고 있는 주민들이 집 앞에 내건 깃발 속 문구이다. 한 지역주민은 이 같은 깃발을 내건 이유는 “진주시에서 센터 건립에 찬성하는 주민들이 많다고 해 반대주민의 숫자를 명확히 보여주려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목적문화센터 건립 예정지에 거주하는 54가구 가운데 30여 가구는 지난 5월쯤 ‘남강변 다목적문화센터 반대 주민협의회(이하 ’반대 주민협의회)’를 구성해 센터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주민 28명은 지난 8월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구역지정 및 정비계획(변경) 결정에 대한 취소’를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반대협의회는 최근 진주시가 마련한 이주택지 이전 수요 조사에 ‘이주 희망자가 없음’을 통보하기도 했다. "이곳에 계속 살고 싶다"는 이유이다.
반대 주민협의회 측은 진주시가 다목적 문화센터 건립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여러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진주시는 강남동 도시재생사업 등을 추진하며 주민들에게 26차례 센터 건립사업을 설명했다는 입장이지만, 협의회 측은 지난 5월과 8월 있었던 주민설명회 두 차례가 실질적인 설명회의 전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54가구가 사는 사유지에 센터를 짓겠다면서 사전 설명이 부족했다. 우리를 사람 취급한 게 맞느냐”고 반문했다.
진주시는 지난 9월 ‘남강변 다목적 문화센터 건립에 따른 이주단지조성 후보지 타당성 검토’ 용역을 통해 이곳 주민들에게 이주택지로의 이전 수요가 있는지 물었지만, 반대여론은 여전히 강하다. 이주희망자가 단 한 명도 없었던 것. 반대 주민협의회는 “이주택지 후보지가 현재 거주지보다 열악하고, 건축비 조달방안이 난감하다. 기본적으로 다목적문화센터를 현 위치에 건립하고자 하는 진주시 의도에도 찬성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전했다.
강동호 남강변 다목적문화센터 반대 주민협의회장은 “택지를 조성해줄테니, 원가의 120%내외로 택지를 사 직접 건물을 지으라는 것이 진주시의 입장이었다”며 “나이 많으신 분들이 센터 건립 예정지에 많이 사시는 데, 이 분들은 보상을 받는다고 해도 택지를 사기 어렵다. 건물을 짓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며 이주희망자가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아울러 “사업추진 전에 빈집이나 빈터를 매입해 사전 협의를 했어야 하지 않냐”고 지적했다.
진주시가 주민들에게 권유한 이주택지 후보지는 모두 3곳이다. 망경동 553번지 일원과 망경동 605번지 일원, 망경동 2-7번지 일원이다. 강 협의회장은 “이들 중 두 곳은 사실상 계곡에 위치한 곳이고, 경사도 심하다. 비가 오면 물이 내려올 가능성이 높다”며 “사실상 사람이 살 곳이 아니라고 판단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공문으로 이주택지 후보지와 답변을 요구하는 독촉장이 함께 왔는데, 무슨 일을 이렇게 하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협의회 가입주민 ㅅ씨는 진주시의 불통문제를 지적했다. 진주시 ‘열린시장실’을 방문해 조규일 진주시장과의 면담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 그는 “진주시는 도시재생에 있어 사람이 먼저다. 사람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말로만 그러는 것 같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아울러 “우리에게 주거지는 생존의 문제”라며 “망경동만한 거리도 없고, 이곳이 참 좋다. 앞으로도 계속 이곳에 살고 싶다”고 덧붙였다.
진주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반대에도 사업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박성진 문화예술과장은 “주민들 가운데 사업 추진에 반대하는 분도 있고, 찬성하는 분도 있다. 입장은 제각각”이라면서 “반대주민들을 지속적으로 설득할 것이고, 그 분들의 요구사항이 있다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진주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54가구 가운데 보상협의가 완료된 가구는 6가구 내외이다.
한편 남강변 다목적문화센터는 조규일 진주시장의 공약사업 가운데 하나이다. 진주시는 관내에 중소형 공연장이 없어, 남강변 다목적문화센터 건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문화예술인을 위해서라는 취지. 하지만 문화예술인 가운데서도 반대의 목소리는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문화예술인 ㄱ씨는 “중소형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해도, 누군가의 거주지를 빼앗으면서 공연장 건립을 강행해서는 안 된다. 협의가 먼저”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