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대병원 전공의 163명 중 8명 복귀 의사 밝혀
의료붕괴 막으려면 경상남도, 지자체 적극 나서야 할 때

수련병원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사직 처리 마감 시한인 15일이 지났지만, 전공의들은 대부분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대병원 사직 처리 마감 결과 163명 중 8명(인턴,레지던트 포함)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대병원 사직 처리 마감 결과 163명 중 8명(인턴,레지던트 포함)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대병원에 따르면 15일 마감 결과 인턴 1명(전체 인원 40명)과 레지던트 7명(전체 인원 123명)이 복귀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이는 16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복귀율 8.4%에 비하면 밑도는 수치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체 211곳 수련병원 전공의 출근율은 8.4%(1만 3,756명 중 1,155명)에 그쳤고, 이는 12일 출근자(1,111명)보다 44명 늘어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국 40개 의과대학 교수 대표들은 “병원들이 개별 전공의에 대해 일방적으로 사직 처리를 하는 것은 현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뿐 사태 해결에는 도움이 안 될 것”이라는 취지의 입장을 발표했다. 

김영수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공공보건사업실 실장은 “전공의 없이 일년을 넘길 것 같다. 협상 대상도 명확하지 않고, 정부와 전공의간의 타협 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의료공백' 사태가 장기화 될 수록 시민과 환자의 불편만 커지고 있지 않은가" 라고 짚었다.

이어 “시민, 환자의 생명 보호를 위해 의사 수련과 의학 교육이 조속히 정상화 되어야 한다. 중앙 정부만 바라보지 말고 경상남도 단위에서나 지자체에서도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 해 나가야 할 것” 이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