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민들 반대집회 이어가

일본정부가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시작하자, 진주시민들이 반발했다. 20여곳에 달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정당 지역위원회 등은 26일 늦은 오후 인사동 이마트 앞 사거리에 모여, 일본정부의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성토했다.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사실상 용인한 윤석열 정부를 향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들은 앞으로도 핵오염수 투기 중단을 요구하는 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성난 진주시민들이 26일 집회를 열었다.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성난 진주시민들이 26일 집회를 열었다.

이날 대회사는 류재수 윤석열 퇴진 진주시민모임 공동대표가 맡았다. 그는 일본정부가 지난 24일부터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시작한 점을 들고 “인류 역사상 최악의 환경 재앙을 일으킨 일본정부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했다. 이어 “핵오염수를 육지에 보관하는 방법도 있는데, 해양투기를 한 것은 잘못”이라고 짚었다. 우리 정부의 애매한 태도도 비판했다. 핵오염수에 찬성도 반대도 아니라는 입장을 정부가 내놓은 점을 들어서다. 그러면서 일본정부에 핵 오염수 투기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막지 못한 윤석열 대통령을 심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희주 진주텃밭 대표는 핵오염수 투기로 수산물 업계의 타격이 클 것이라고 했다. 새우, 건어물, 고등어 등을 공급하는 이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면서다. 그는 수산업자들은 그간 건강한 식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노력해왔는데, 이 같은 노력들이 핵오염수 해양투기로 물거품이 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가 시민들의 우산은 되어주지 못하더라도, 일상의 행복만은 앗아가지 않았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핵오염수 해양투기 소식에 성난 진주시민들이 26일 집회를 열었다.
핵오염수 해양투기 소식에 성난 진주시민들이 26일 집회를 열었다.

최승제 진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일본정부가 핵오염수를 해양투기하며 내놓은 논리들을 비판했다. 그는 우선 핵오염수 해양투기가 안전하다는 주장은 거짓이라고 짚었다. IAEA 보고서에 기초해 핵오염수 해양투기가 안전하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IAEA는 연구단체도 학술단체도 아닌 핵을 사용하는 나라들이 모인 기구인 점을 들어서다. 해양에 투기된 방사능 물질이 해양 생명체를 거쳐 우리에게 돌아올 것이 자명하다고도 했다. 핵오염수를 보관할 공간이 부족해 해양투기 한다는 일본정부의 주장도 어처구니가 없다고 했다. 134만 톤에 달하는 핵오염수는 인공호수인 진양호에 보관된 물(3억 900만톤)의 220분의 1에 불과한데, 육지에 핵오염수를 보관할 공간이 없을 리 없다면서다. 해양투기가 핵오염수 처리 비용이 가장 싸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했다. 핵오염수를 배출하는 비용은 싸겠지만, 어민 피해 지원에 엄청난 비용이 든다는 점을 들어서다.

이어진 발언들에서는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한경호 더불어민주당 진주을 지역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이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대응하는 것을 보고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나 참담했고, 분노를 느꼈다”며 “주권국, 자주국을 포기한 채 일본의 나팔수, 대변인 역할을 하는 윤석열 정권을 퇴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우주 진보대학생넷 활동가는 “우리 국민의 85%가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반대하는 데도, 정부는 반대 목소리를 괴담으로 치부하며,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의 생존권을 지키는 일 등 대통령으로서 의무를 다하지 않는 대통령을 끌어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핵오염수 해양투기 소식에 성난 진주시민들이 26일 집회를 열었다. 플래쉬몹을 하고 있는 진보대학생넷 회원들
핵오염수 해양투기 소식에 성난 진주시민들이 26일 집회를 열었다. 플래쉬몹을 하고 있는 진보대학생넷 회원들

한편 일본정부는 지난 24일부터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시작했다. 이날부터 17일간 매일 460톤의 핵오염수가 해양에 버려진다. 올해에만 3만여 톤의 핵오염수가 해양에 투기되며, 이 같은 작업은 향후 30여년 간 이어질 예정이다. 하지만 지금도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매일 100톤의 핵오염수가 만들어지고 있어, 핵오염수 해양투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명확하지 않다.

/단디뉴스 = 김순종 기자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