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세력 완전청산과 사회대개혁"촉구

오늘(8일) 내란세력 청산 사회대개혁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가 발족했다. 이들은 “광장시민의 힘으로 내란세력을 심판하고 민주주의를 실현하자”고 밝혔다.

 내란세력 청산 사회대개혁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가 발족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 
 내란세력 청산 사회대개혁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가 발족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 심인경 상임대표는 "우리는 ‘빛의 혁명’을 멈출 수 없다"며 "6월 3일 대선에서 내란세력을 심판하여 사회대개혁과 내란 세력을 청산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면서 "2017년 ‘박근혜 파면’ 이후 ‘적폐청산 실패’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더 강력하게 참여하고 실천하여 내란세력을 철저히 청산하고 대한민국의 민주적 발전을 이루자"고 힘주어 말했다.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 전옥희 공동대표는 “대한민국 민주화의 역사는 위대한 민중항쟁의 역사이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으로 이어져 온 극악한 독재권력은 폭발적인 민중의 항쟁으로 무너졌으며 국정농단을 일삼았던 박근혜도 촛불항쟁으로 쫓겨났다"고 지적하며 "민중항쟁은 독재권력을 무너뜨린 것에 그치지 않고 민주주의를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켰다. 윤석열의 내란을 분쇄한 ‘빛의 혁명’도 내란세력 청산과 함께 대한민국을 이전과는 다른, 더욱 발전한 새로운 민주사회로 이끌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진주광장대선시민연대는 대선 국면에서 광장 선거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대선운동도 벌일 계획이다.

[기자회견문]

광장시민의 힘으로 내란세력 심판하고 민주주의 실현하자 !!

광장 시민이 윤석열의 내란을 저지하고 윤석열을 탄핵했습니다. 국민을 총구로 위협하며 국회와 선관위를 점령하려던 비상계엄을 맨몸으로 막아낸 것은 광장시민이었습니다. 윤석열 탄핵안이 부결되었을 때 거리로 쏟아져 나와 국회의 탄핵 가결을 강제한 것도 광장시민이었습니다. 내란세력의 비호 속에 윤석열이 체포를 거부하고 있을 때 남태령대첩과 한남동 키세스 시위로 윤석열 체포를 압박했던 것도 광장시민이었습니다. 헌재에서 탄핵판결이 지연될 때 헌재의 전원일치 탄핵을 끌어낸 것도 거리를 가득 메운 광장시민이었습니다. 윤석열 비상계엄 이후 123일 동안 전국 방방곡곡을 빛의 물결로 물들인 광장시민이 윤석열을 파면시켰습니다.

그러나 내란세력의 준동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내란세력은 거리와 법정과 언론과 국회에서 비상계엄의 정당성과 탄핵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재집권을 선동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내란동조자를 권력의 요직에 알박기하고 윤석열은 내란세력에게 방침을 전달하며 막후정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빛의 혁명’을 멈출 수 없습니다. 윤석열은 파면당했지만 내란세력이 재집권하면 윤석열은 되살아 날 것이고 대한민국은 엄혹한 독재로 되돌아갈 것이며 국민은 자유와 인권을 유린당한 채 고통받을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 광장시민의 요구는 아주 단호하고 간단합니다. 6월 3일 대선에서 내란세력을 심판하여 사회대개혁과 내란 세력 청산을 강력하게 하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1948년 일제잔재 청산을 실패한 ‘반민특위’의 교훈과, 2017년 ‘박근혜 파면’ 이후 ‘적폐청산 실패’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더 강력하게 참여하고 실천하여 내란세력을 철저히 청산하고 대한민국의 민주적 발전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광장 시민의 힘을 하나로 모으려 합니다. 광장 시민의 힘으로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에서 완전한 승리를 이루려고 합니다. 우리는 진주에서 ‘광장대선시민연대’를 만들고 광장시민을 참여시켜 내란세력 완전청산과 사회대개혁을 향해 끝까지 나아갈 것입니다.

 대한민국 민주화의 역사는 위대한 민중항쟁의 역사입니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으로 이어져 온 극악한 독재권력은 폭발적인 민중의 항쟁으로 무너졌으며 국정농단을 일삼았던 박근혜도 촛불항쟁으로 쫓겨났습니다. 그리고 민중항쟁은 독재권력을 무너뜨린 것에 그치지 않고 민주주의를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켰습니다. 윤석열의 내란을 분쇄한 ‘빛의 혁명’도 내란세력 청산과 함께 대한민국을 이전과는 다른, 더욱 발전한 새로운 민주사회로 이끌 것입니다.

2025년 5월 8일

내란세력청산, 사회대개혁 진주 광장 대선 시민연대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