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경상남도]
[사진=경상남도]

[단디뉴스=김순종 기자] 경남지역이 ‘우주산업협력지구 위성특화지구’ 로 최종 지정되자, 진주시가 이를 반기고 나섰다. 인구유출 등으로 지역이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새로운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각광받는 항공우주산업을 집중 육성할 수 있게 됐다면서다.

앞선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경남 지역을 위성특화지구로 지정했다. 전남의 발사체, 대전의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와 함께 경남지역을 국내 우주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지정한 셈이다. 우주항공청도 경남 사천에 들어서기로 한 만큼 항공우주산업 발전에 기대감이 모인다.

우주산업협력지구 위성특화지구는 우주 관련 산업의 연계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기관, 기업, 교육기관 및 과학기술 관련 기관·단체, 지원시설을 상호 연계해 조성하는 지역을 말한다. 경남에서는 진주와 사천을 포함한 서부경남지역이 위성특화지구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시는 앞으로 진주지역이 항공우주산업의 중심지로 우뚝 설 것이라 기대했다. 2023년 발사가 예정된 초소형 위성개발사업, KAI 회전익 비행센터 건립계획, UAM(도심항공교통)산업 육성에 더해 이번 지구지정이 항공우주산업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다.

지구지정으로 현재 조성 중인 진주 경남항공국가산업단지에는 ‘우주환경시험시설’이 구축될 예정이다. 상대동에 위치한 ‘우주부품시험센터’를 대폭 확장·이전해서다. 시는 이곳을 중심으로 우주시설의 기능, 성능시험은 물론 부품 국산화 업무를 수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센터를 중심으로 인력양성, 연구개발, 시험시설 등을 집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는 2023년 1월부터 과기부에서 우주 기반시설 관련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할 예정임을 밝히고, 2029년 ‘우주환경시험시설’이 개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주환경시험시설’은 향후 10년 이상 민·관·군의 범국가적 위성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국제수준의 미래지향적 시설로 조성될 예정이다.

한편 경남도는 위성특화지구가 조성되면 2031년까지 도내에서만 4467억 원의 생산 유발효과, 2040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2316명의 고용 유발효과 등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진주시는 앞서 강소연구개발특구(항공우주부품소재산업)로도 지정된 바 있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이날 “기존에 추진 중인 초소형위성 개발사업, 이미 잘 구축되어 있는 항공우주 관련 인프라와 함께 위성특화지구 지정이 시너지효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차근히 준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