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 확보, 처우개선 시급"

[단디뉴스=김순종 기자] 동물복지와 가축질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인력을 확충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동물복지 문제로 갈등이 지속되고 있고, 조류독감이나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등이 상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도 관련 업무를 담당할 사람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주장과 함께이다.

윤성관 진주시의원(민주당)
윤성관 진주시의원(민주당)

윤성관 의원(민주당)은 24일 열린 진주시의회 본회의 5분 발언에 나서 이 같이 주장했다.

그는 유기동물과 관련한 갈등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며, 소위 ‘캣맘’이라 불리는 이들과 주민간 갈등, 동물보호단체와 유기동물보호소 간의 갈등,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과 키우지 않는 사람 간의 갈등이 우리 사회 전반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구조된 유기견의 경우 일정기간이 지나면 안락사 처리가 되는데, 안락사 공고 이후 갈등발생이 잦다고 했다.

또 조류독감이나 아프리카 돼지열병, 구제역 등이 상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진주시도 지난해 가축 살처분 예산으로만 10억원을 사용했다”고 들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향후에도 동물로부터 전파되는 전염병이 일어날 수 있다며, 이러한 점을 보면 가축관련 질병과 전염병에 초동방역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했다.

그는 그럼에도 진주시에는 관련 업무를 담당할 사람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가축방역을 담당하는 수의직은 열악한 근무조건으로 지난 2년간 총원 5명 중 3명이 퇴사하고 1명은 휴직해, 현재 방역업무를 담당하는 수의직이 2명에 불과하다면서다. 심지어 2020년에는 임용 포기자가 발생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선진국형 동물복지와 초동방역 실현을 위해 전문인력 확보와 처우개선을 당부했다.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수의직 공무원을 반드시 확보하고, 처우 개선을 위해 5급 공무원 자리도 만들자면서다. 그는 또 동물보호소팀과 동물복지팀을 분리하고, 이들 부서에서 일하는 공무원에 대한 처우 개선 방안도 마련하자고 덧붙였다.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게티이미지벵크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게티이미지벵크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