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6억 원 들여 공공기반시설 확충, 업종 재배치 등 실시
[단디뉴스=이은상 기자] 진주 상평일반산업단지 재생사업이 지난 4일 경남도의 최종 승인을 받으면서 본격 추진된다. 재생사업은 사업비 466억 원을 들여 공공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지구별 업종 재배치로 산업시설의 복합화를 유도하는 것이 골자다. 진주시는 내년 초 기반시설 편입 토지 보상을 시작으로 2025년 12월까지 도로, 주차장 등 기반시설 확충사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재생사업 계획은 공공기반시설 확충과 지구별 업종 재배치가 핵심이다. 공공기반시설 확충에는 △산단 내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도로구조 개선 △주차난 해소를 위한 주차장 4곳 설치 △근로자들의 휴식 및 정서함양을 위한 소공원 3곳 조성, 업종 재배치 계획에는 △기존 업종을 주력산업고도화지구, 신성장산업복합지구, 도시형산업유치지구로 점진적 재배치 등이 담겼다.
상평산단은 1978년 지방공업 개발 장려지구로 지정돼 1980년대 지역경제 성장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대동공업사의 대구 이전, 실크산업의 쇠퇴 등을 계기로 노후된 산업단지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시는 상평산단이 2014년 정부의 노후 산단 재생사업 제2차 공모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기반시설 정비, 편의시설 확충을 비롯한 근로·정주환경 개선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시는 국토연구원과 연계해 기반시설 확충사업과는 별도로 민간 투자 촉진을 위한 복합용지 도입 계획안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LH와 연계해 상대동 일원 활성화구역 개발환지계획 용역사업도 추진 중이다.
시 관계자는 “상평산단 재생사업을 통해 입주업체가 보다 좋은 환경에서 기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도심형 첨단산업단지로 탈바꿈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의 원동력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상평산단 재생사업은 2018년 12월 경남도로부터 승인, 재생사업지구로 지정·고시되면서 본격화됐다. 이후 국토부 타당성 검증과 진주시 재생추진협의회 자문, 경남도 산업단지계획 심의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 등을 거쳤다. 지난 4일 재생사업지구 계획이 경남도로부터 승인받으면서 이와 관련된 행정절차를 모두 마치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