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에서 여성주권자 지우지 말라"
"이재명 후보 ‘여성’, ‘성평등’ 표현과 공약 없어...성인지 관점 후퇴" 지적
제21대 대선 선거운동이 진행되는 가운데 주요 정당의 10대 공약에서 여성·젠더 표현이 지워지고 성평등 공약을 찾을 수 없어 여성단체들이 "성평등 정책을 반영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 14일 경남여성단체연합을 비롯한 연대단체들은 경남도교육청 교육연수원 홍익관에서 "빛의 혁명에 성평등으로 답하라"는 주제로 긴급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경남여성단체 회원들은 “21대 대선후보들은 ‘빛의 혁명’을 진정 기억하고자 한다면, 주권자들의 절반인 여성 시민이 요구하는 성평등 정책을 반영 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성평등 민주주의에 대한 공약과 실천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사회 전반에 성평등, 젠더 관련 변화를 요구하는 이들이 주체적으로 논의하는 못했다"며 "성평등 정책 과제를 반영하는 것, 사회 전반에서 요구하는 변화를 페미니스트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구체화해서 알려내는 기회도 많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참가한 여성들은 "내 삶을 바꾸는 성평등 정치, 차별과 혐오 정치를 넘어 성평등 세상을 이루기 위해 성평등 정책 공약을 제시하고, 성평등 사회대개혁을 실천할 대통령 후보에 투표할 것을 밝힌다"라고 선언했다.
경남여성단체연합 윤소영 대표는 "사회대개혁 변화를 이끌어 갈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정치, 대통령선거가 되길 열망하는 마음으로 우리가 바라는 성평등 사회대개혁 정책 의제를 정리할 수 있는 장, 주체적 참여, 참여하는 사람들이 논하고 제안하는 장을 만들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며 취지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10대 공약에서 ‘성평등’과 ‘여성’ 관련 공약이 사라졌다”고 지적하며 “2022년 20대 대선 당시 이 후보가 내건 ‘여성 안심 대통령’ 공약이 사라져 오히려 성인지적 관점에서 후퇴한 것”이라며 비판했다.
참가자들은 "다시 만날 세계에 이건 꼭 있어야 해"라는 주제로 '성평등 안전', '성평등 시민주권', '성평등 노동', '성평등 돌봄', '여성정치 세력화'를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며 페미니스트 공약을 각 정당에 제안했다.
이 자리에는 민주노동당(옛 정의당), 진보당, 노동당 담당자들이 함께 토론을 진행하며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경남선대위 이소정 집행위원장은 “이번 대선에서 여성 관련 성평등 공약을 내건 유일한 정당이 민주노동당”이라고 호소하며, “수도권에서만 페미니즘 정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창원, 진주,김해,양산,사천 작은 도시에서도 페미니즘 정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나는 페미니즘 정치인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정치 문화를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을 제안했다.
한편,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는 여성가족부를 성평등부로 격상하고,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하겠다는 성평등·여성 정책 공약을 내놓은 유일한 후보다.
권 후보는 “여성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나라, 성별 고정관념으로부터 모두가 자유로운 나라, 성적 지향으로 차별받지 않는 나라를 꿈꾸는 페미니스트”라며 성평등을 모든 정책의 기조로 삼겠다고 지난 13일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