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최 측 "위안부 역사관 건립 위해 지혜 모으는 의미있는 자리"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과 일본군 '위안부' 연구회는 오는 21일 1시부터 경상대학교 BNIT R&D센터 204호에서 ‘지역에서 바라본 일본군 성노예제와 과거사 반성’을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아픈 역사를 돌아보고, 경남지역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위한 협력의 지혜를 모아내는 자리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행사라는 평가가 나온다.

 

심포지엄은 총 3부로 구성된다.

<책임의 자리, 되묻기>를 주제로 진행되는 1부에서는 대일 과거사 반성의 현주소를 법. 사상, 사회문화 차원에서 되짚는다. <공동체의 윤리, 이어가기>를 주제로 한 2부에서는 ‘위안부’ 피해자가 가장 많은 경남지역의 현황 및 일본군‘위안부’운동의 과제를 지역조사, 역사관 건립, 여성 인권운동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3부에서는 교수, 전문가, 도의원 등이 주제 토론에 나선다.

1부 발표자로는 김창록 교수(경북대 법학전문연구원)와 강성현 교수(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김명희 교수(경상대 사회학과)가 나선다.

김창록 교수는 2018년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 등을 분석해 ‘대일과거청산’이 여전히 미해결 과제로 놓여있음을 제시한다. 강성현 교수는 최근 출간된 ‘반일종족주의’를 중심으로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역사수정주의 논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김명희 교수는 일본군 성노예 문제와 같은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을 둘러싼 추모 사업이 피해자와 지역공동체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전망한다.

2부 발표자로는 전갑생 연구원(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송도자 대표(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통영거제시민모임), 이경희 대표(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마창진 시민모임)가 있다.

전갑생 연구원은 2015~2016년 진행된 경남지역 일본군 ‘위안부’ 지역조사가 남긴 성과와 과제를 돌아보고, 후속 조사를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제시한다. 송도자 대표는 피해자가 더 이상 생존해 있지 않은 이른바 ‘포스트-할머니 시대’를 맞아 ‘경남지역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건립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이경희 대표는 그간 학계와 언론, 의회나 정부에서조차 ‘지방’이라는 하위 범주로 분류되는 ‘지역’ 여성인권운동의 발자국을 일본군‘위안부’운동을 중심으로 되짚는다.

3부에서는 김득중 연구사(국사편찬위원회), 임경화 교수(중앙대), 강정숙 연구원(성균관대), 박정애 연구원(동북아역사재단), 김경영 의원(경남도의회)이 주제 토론에 나선다.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은 “이번 학술심포지엄은 계속되는 일본의 역사부정에 대응해 경남 교육청, 시민사회, 지역거점국립대학과 연구소가 공동으로 경남지역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위한 지혜를 모아내는 자리라는 점에서 특별한 위상과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