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교육 문제가 핵심 이유
양질 일자리 없다는 지적에
서울 중심 문화가 원인이란 해석도

/사진 = 동남지방통계청 '2023년 동남권 인구이동통계' 발췌
/사진 = 동남지방통계청 '2023년 동남권 인구이동통계' 발췌

지난해 경남지역 인구 순유출이 1만 63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타 지역으로 유출된 인구 10명 가운데 9명 안팎이 20대이고, 2년 간 경남을 떠난 20대 인구가 의령군 인구수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대비 경남지역 인구 순유출 수는 소폭 감소했지만, 2018년 이래 매년 적게는 5800여명, 많게는 1만 8000여명의 인구가 경남을 떠나고 있다.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지난 7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동남권 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경남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1만 6300명이 타 지역으로 유출됐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20대 1만 3276명, 10대 3243명, 30대 1392명, 10세 미만 1256명, 40대 313명이 순유출됐다.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경남지역으로 전입한 이들의 수가 더 많았다. 50대는 1163명, 60세 이상은 2017명이 경남으로 전입했다.

문제는 지역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 세대의 인구유출이 심각하다는 점이다. 2022년과 2023년 새 경남에서 순유출된 20대 인구는 2만 9천여 명으로 의령군 인구 수(2만 5천여 명)를 초과했다. 이들이 타 지역으로 주거지를 옮긴 주요한 이유는 직업과 교육 문제 때문이었다. 경남 청년층(만 20~39세) 대다수는 부산(32.9%), 서울(16.7%), 경기(13.4%)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대체로 시 단위 자치단체에서 인구유출 폭은 더 컸다. 2023년에만 창원시는 1만 176명, 거제시는 2194명, 진주시는 1873명, 통영시는 1381명, 김해시는 977명이 타 지역으로 순유출됐다. 반면 양산시는 1592명, 사천시는 498명, 산청군은 230명, 거창군은 205명이 순유입됐다. 주된 유입 사유는 가족이었으며, 경남의 자연환경과 주택(부동산)이 그 뒤를 이었다.

매년 이어지고 있는 청년층 인구 순유출을 해결하려면 양질의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에 거주 중인 ㅅ(43)씨는 “고향인 진주로 내려가고 싶어도 양질의 일자리가 없다. 연봉 감소를 고려하더라도 절반에 달하는 연봉감소를 감내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지역에 머물기 힘든 점을 토로했다. 부산에 거주 중인 ㄹ(39)씨도 “외지생활보다 고향에 살고 싶은 마음이 크지만, 마땅한 일자리가 없었다”고 전했다.

서울 중심의 성장 지향적 사고가 문제라는 지적도 잇따른다. 최승제 지역재생연구소장(49)은 “일자리만이 이 같은 현상의 배경은 아닐 것”이라며 우리 사회에 팽배한 “서울 중심적 사고, 성장 중심적 사고도 이 같은 문제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익명적 도시문화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좁은 지역 사회보다 큰 도시에서의 삶, 익명적 삶이 편안함으로 다가오는 것도 한 이유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단디뉴스 = 김순종 기자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