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와 학부모, 지역사회 바꾸는 공동육아는 또 다른 '사회운동'

[단디뉴스=김순종 기자] 이송자 (사)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이사는 5일 진주아이쿱생협 평거점에서 ‘어린이집, 유치원을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어떻게 만들지?’를 주제로 강연을 열었다. 강연은 경남사회연대경제사회적협동조합을 비롯한 경남․진주지역 단체들이 협동조합형 유치원 설립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한 것이다. 앞서 지난달 26일과 29일에도 LH본사에서 두 차례의 강연이 있었다. 이번 강연은 ‘유아 대안교육 어떻게 가능한가’를 주제로 열린 강연회의 마지막 강연이다.

 

▲ 이송자 (사)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이사는 5일 진주아이쿱생협 평거점에서 ‘어린이집, 유치원을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어떻게 만들지?’를 주제로 강연을 열었다.

20여 년간 공동육아활동가로 일해온 이 이사는 협동조합 유치원은 ▲보육의 공공성 확보(민주적 운영, 재정 투명성) ▲공동체성 증진(부모간 교류, 부모․교사 간 신뢰, 주민자치활동 및 마을공동체 활동) ▲양육주체의 당사자성 강화(참여보육, 협력하는 교사회, 아이 주도 놀이문화) ▲아이들과 부모의 삶의 변화를 가져다주는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많은 부모들이 기대하는 안전한 먹거리를 마음껏 먹고 뛰어노는 유치원, 더불어 사는 유치원, 신뢰받고 투명한 유치원으로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

그는 또한 공동육아 과정에서 아이는 물론 부모도 성장하고 변화하는 것을 적지 않게 지켜봤다고 했다. 그는 “처음에는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에 공동육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교육에 직접 참여하면서 달라지는 조합원들이 적지 않다”고 했다. 공동육아 과정에서 생태교육, 친환경교육에 무게를 싣다보니 어느 순간 자기 집에서도 플라스틱 사용을 중지하고 친환경적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더라는 것.

그는 공동육아 과정에서 부모들이 육아공동체, 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 향후에는 주민자치활동이나 마을공동체 활동에 적극 나서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했다. 부모들이 교육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며 어린이집 주위 환경에 관심을 기울이다보니, 주민자치활동이나 마을공동체 활동에 관심을 갖고 점차 참여하더라는 것. 그는 그런 의미에서 공동육아는 육아활동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사회 운동’이라고 정의했다.

 

▲ 강연에 참석한 시민들

그는 사회적 협동조합 유치원 설립 방식에는 3가지가 있다며 그 중 부모-교사 협력 중심의 유치원 설립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했다. 부모 중심의 유치원 설립 시는 부모들이 유치원 운영 경험이 없어 초기 안정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교사들이 중심이 되면 부모의 자발적 협력을 끌어내는 것이 어렵다는 것. 그는 부모의 참여와 교사회의 협력구조를 만들어낸 뒤, 교육청 등 외부기관과 연계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유치원 설립방식이라고 했다.

그는 협동조합 유치원 설립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고 했다. 유치원은 어린이집과 달리 자생적 설립이 어려운 학교 구조이고, 이 때문에 진입 장벽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유치원 설립 시 교지(부지)가 자가소유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크다고 했다. 조합원 출자금만으로 교지를 사기 위한 목돈을 마련하기는 힘들다는 것. 또 협동조합 경험이 있는 경력교사가 부족한 점, 부모들이 조합을 조직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점도 협동조합 유치원 설립을 힘들게 하는 요소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럼에도 협동조합형 공동육아가 가진 장점이 크다며, 공동육아 어린이집이 없는 곳이라면 비교적 장벽이 높은 유치원이 아닌 어린이집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괜찮다는 의견을 전했다. 그러면서 공동육아 어린이집/유치원을 설립하려면 무엇보다 부모, 교사가 동기부여를 가지고 설립을 추진해야 하며, 교육기관, 지역사회도 이같은 움직임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중앙정부나 교육부도 협동조합형 유치원 공간 마련을 위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등 협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