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40마리 수용기준, 안락사 27%, 보호소 인력 2명.. 보호소 개선 ‘시급’

- 거제시 수용기준 200마리 ·안락사 1.9%·인력 4명, 용인시 수용기준 100마리·안락사 3.9%·인력 17명

▲ 경남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진주시 유기동물보호소의 적정수용 기준은 40마리로 인구수 대비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주시 유기동물 보호소가 경남도에서 가장 열악한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시설 면에서 그렇다. 경남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진주시 유기동물보호소의 적정 수용 기준은 40마리로 인구수 대비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한 것이다. 반면 진주시(34만 7413명)와 인구가 비슷한 양산시(34만 9569명)는 90마리, 오히려 인구가 적은 거제시(24만 8469명)는 200마리가 적정 수용기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진주시 유기동물 보호소, 비인도적 동물 안락사 처분 방식 '논란'

[동물복지-2부] 한 해 버려지는 동물 400여 마리, 비바람 가릴 시설이라도 '절실'

▲ 경남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진주시 유기동물보호소의 적정수용 기준은 40마리로 인구수 대비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공간의 부족은 동물 안락사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진주시 보호소의 동물 안락사 비율은 27%로 심각한 수준이었다. 실제 수용된 동물의 수는 437마리, 안락사 된 동물의 수는 118마리였다. 최근 3년 간 진주시 유기동물 보호소에서 안락사 된 유기견의 수는 △2017년, 17마리 △2018년, 118마리 △2019년, 110마리(8월31일 기준)로 매년 안락사 실시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다.

진주시 보호소는 적정 수용기준 대비 실제 수용비율도 높았다. 지난해 보호소에 실제 수용된 유기견의 수는 437마리로 적정수용 기준의 10배를 초과했다. 40마리가 수용 가능한 보호소에는 현재 130여 마리가 수용돼있다. 수용공간이 부족한 탓에 유기견의 3분의 1은 외부환경에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동물복지’라는 단어가 무색할 만큼 열악하다.

 

▲ 지난 9월, 진주시 보호소에서 격리된 공간 확보 없이 안락사를 진행해 논란이 된바 있다. [사진=빨강색 원(안락사를 실시하는 장소), 파랑색 원(안락사가 실시되는 장소가 주변 동물들에게 노출되어 있다)]
▲ 진주시 유기동물 보호소에서 매년 3~5회 전염병이 발생하고 있지만, 감염된 동물 대부분은 치료 없이 안락사를 시키고 있다. (사진=파보 바이러스에 감염돼 동물병원으로 이송된 유기견 3마리 가운데, 1마리만 생존했다.)

보호소에서 발생하는 전염병도 문제다. 매년 2~5회 전염병이 발생하고 있지만, 전염병에 걸린 동물을 안락사 시키는 방법 외에는 뾰족한 방안이 없다. 예산문제로 의료지원이 힘든 상황이고, 수용공간이 부족한 탓에 전염병에 걸린 동물을 분리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보호소 시설개선 등과 함께 의료지원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기동물이 보호소를 입소했을 때부터 질병검사와 예방접종을 실시해 질병의 확산을 막고, 분리된 공간에서 동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보호소 전담인력은 현재 공무직 2명이 전부다.

진주시 유기동물 보호소 문제를 두고, 연암대학교 동물복지 계열 이웅종 교수는 “보호소 수용 기준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오히려 유기동물의 수가 더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오히려 보호소에 입양센터와 교육센터를 구축해 반려동물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강화하게 되면 입양된 동물이 다시 파양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보호소가 있는 집현면 일대 주민들은 이곳을 혐오시설로 여기며, 보호소 시설개선에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하지만 이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진주시가 시설물 개선 등의 명목으로 관련 예산 2500만 원을 확보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예산집행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호소가 있는 집현면 일대 주민들은 이곳을 혐오시설로 여기며, 보호소 시설개선에 적극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주시 관계자는 “유기동물 보호소 문제의 심각성은 인지하지만, 지역주민의 반대가 심해 대책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전염병 발생 시 의료비가 50만 원 선이다. 동물 한 마리당 최대 15만 원의 예산이 책정된 만큼 안락사를 실시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밝혔다.

 

▲ 거제시 유기동물 보호소 전경.

반면 이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하며, 동물복지 실현에 이바지하고 있는 자치단체가 적지 않다. 자치단체가 적극적 의지를 가지고, 지역주민들과 갈등을 해소하면서다. 특히 도심에서 떨어진 곳에 보호소 부지를 마련하고, 동물 안락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이 성공요인으로 꼽힌다.

인근 거제시는 경남도에서 보호소 운영을 잘하고 있는 대표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거제시가 보호소 시설개선, 인력충원, 예산확보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면서다. 거제시 보호소는 20여 개의 분리된 공간을 갖춰 동물을 좁은 철망 속에 한 마리씩 분리해 수용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 거제시 유기동물 보호소 외부시설.
▲ 거제시 유기동물 보호소 내부 시설.

2015년 증축된 거제 보호소는 2008년(200m²) 신축 시점보다 2배 이상의 규모(588m²)를 갖춰 유기견뿐 아니라 유기묘도 수용하고 있다. 거제시는 지난해 관리사 1명을 충원해 보호소 인력 총 4명을 확보했다. 보호소는 현재 200마리의 적정 수용기준을 갖춰 유기동물 400여 마리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거제시는 올해 보호소 운영비 지원사업에 선정, 도비 1억 원을 확보했다. 유기동물 의료지원비는 최대 20만 원까지 가능하다.

거제시는 지역 동물단체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면서 동물 복지실현에 힘쓰고 있다. 이 단체는 보호소에 있는 유기묘를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입양 홍보활동을 강화해 동물 안락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거제시 보호소의 동물 안락사 비율은 1.9%에 불과하다. 이곳에 수용된 동물의 수는 1039마리며, 안락사 된 동물의 수는 20마리다.

 

▲ 유기묘 보호실.

거제시 보호소 관계자 A씨는 “거제 보호소는 관리사들이 입소 시점부터 동물을 분리해 수용하고, 보호소 환경에 적응이 되면 다른 동물과 융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를 하는 시스템이 특징”이라며 “지역 동물보호단체가 고양이 관리, 입양홍보, 물품기증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 용인시 유기동물 보호소 전경.

용인시 유기동물 보호소는 알찬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동물복지를 실현하고 있는 대표사례로 손꼽히는 곳이다. 용인시 보호소는 총 17명의 인력을 편성, 반려동물 교육 및 입양홍보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기동물 입양 후 재 파양되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다. 입양신청자는 보호소에서 2~3회 교육을 받고, 입양상담 및 심사를 거치게 된다.

특히 용인시 보호소에는 수의사 1명과 간호사 1명을 배치하는 등 선진적인 의료지원 체계를 구축한 것이 장점이다. 유기동물이 보호소를 입소하면 질병검사와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의료내역을 꼼꼼히 기록해 둔다. 또한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 유기견 보호실.

용인시 보호소는 2017년 신축, 100마리의 적정 수용기준을 갖춰 현재 170여 마리가 수용돼 있다. 이곳에는 넓은 부지(대지면적 : 2766m²)를 확보, 동물 운동장 시설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용인시 보호소의 안락사 비율은 3.9%수준이다. 지난해 이곳에 수용된 동물의 수는 945마리, 안락사 된 동물의 수는 37마리였다.

용인시 관계자는 “동물 안락사를 최소화 하기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해외입양도 추진하고 있다”며 “보호소에서는 입양자에게 무료로 중성화 지원 등 실질적인 혜택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 유기견들이 운동장에서 뛰어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