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보존 비용문제, 부지 보상문제, 관광자원화 주체 등 곳곳에 암초

- 화석산지 추가용역 발주.. 10월 말 조사결과 바탕 보존방법·규모 제시

 

▲ 진주 정촌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지층균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정촌 화석산지가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았다면, 화석보존에서 활용까지 국가에서 모든 책임을 져야한다.” 정촌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보존문제를 두고 진주시가 밝힌 기본 입장이다.

진주 정촌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보존 절차가 순탄치 않다. 화석보존 문제를 두고 이해당사자 간의 의견이 엇갈리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뿌리산단 시행자 측은 화석산지 보존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385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추가용역을 발주했지만,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은 끊이지 않고 있다. 화석보존에 대한 비용부담 문제를 두고서다. 문화재청은 관련법에 의거해 화석보존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진주시는 국가에서 이 문제를 책임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화석의 가치가 높더라도 법률상 최대 70%의 국비지원이 가능하다. 화석보존계획 수립은 사업시행자와 관리단체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진주시의 의무”라며 “천연기념물 지정이 신속하게 되어야 화석을 보존하고, 국비지원도 가능하다. 진주시가 뿌리산단 사업 지분의 40%를 가진 만큼 적극적인 의지가 요구 된다”고 말했다.

 

▲ 진주 정촌 뿌리산단 조성터

지난달 22일 문화재청이 정촌 화석산지 원형보존 결정과 함께 보존계획, 보존범위 등 11개 사항을 진주시와 뿌리산단 시행자 측에 요구했다. 향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열어 구체적인 화석보존 방안을 마련하고, 화석산지의 문화재지정 여부도 가시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비용부담을 이유로 화석산지 보존절차가 지연되고 있다. 화석산지 보존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추가용역 결과는 10월 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뿌리산단 측과 진주시는 이 결과를 토대로 보존방법과 보존규모 등을 구체화하겠다는 방침이다.

 

▲ 뿌리산단 내 매장문화재 출토지역

앞으로 정촌화석산지를 관광자원화 하기 위해서는 진주시의 적극적인 의견 개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를 위해선 산단 내 화석보존 구역의 확보가 관건이지만, 토지보상 비용문제가 남게 된다.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700여 평 규모에 불과하지만, 이곳은 산업용지 4개 필지(1만평)에 물려있어 토지보상 비용부담이 크다.

토지보상 비용은 조성원가 기준, 1평당 121만 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뿌리산단 측은 4개 필지 기준, 121억 원이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곳 화석산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다면 토지보상비용을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되지만, 문화재청은 원형지 기준, 36만 원 선으로 보상가에 대한 의견을 밝힌바 있다.

이 때문에 차액부분 85억 원 규모의 예산을 누가 부담할 것인지가 문제로 남는다. 이 문제를 두고 문화재청은 “뿌리산단 지분을 가진 진주시의 용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진주시는 “토지감정을 통해 보상가를 재산정하고, 이 또한 전액국비로 지원해야한다”는 입장이다.

 

▲ 공룡의 행동분석 연구를 위해 화석 위에 분필로 그림이 그려져 있다.

발자국 화석 연구 및 활용을 위해 화석위에 분필로 그려진 자국을 제거하는 작업을 두고도 갈등을 빚고 있다. 문화재청은 화석산지 원형보존을 위해 이곳의 출입을 전면 통제하고 뿌리산단 측에 분필 자국을 제거토록 요구했지만, 오히려 이러한 자국이 화석 연구 및 전시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한 이 자국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화석이 훼손될 가능성이 높고, 사업시행자에게 추가비용 부담이 발생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제거비용은 2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22일 문화재청이 정촌 화석산지를 원형보존하기로 결정했지만,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다. 현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8개 지층가운데, 일부에 그친 채 발굴조사가 중단된 상황이다. 뿌리산단 내 도마뱀골격, 대형거북 발자국, 개구리 발자국 화석 등이 발견된 부지 3곳의 정밀발굴조사 문제도 남아있다. 또한 이곳 화석산지를 관내 화석산지 3곳과 연계, 관광 및 교육자원으로 적극 활용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 정촌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특히 화석 보존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현재 뿌리산단 측은 화석산지 임시보존 조치로 출입을 제한하고, 방수포로 화석을 덮어 둔 상태다. 화석산지는 18m 높이로 우뚝 솟은 채 지층균열 현상과 화석 풍화작용이 진행되고 있다. 보호각 등을 설치해 비·바람으로부터 화석의 손실을 막아야 하지만, 시설물 설치까지 최소 3년 이상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석보존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뿌리산단 사업자체도 문제다. 이 사업은 내년 3월 준공을 앞두고 있지만, 화석산지 문제로 공사가 지연되고 있으며 분양률도 저조하다. 시행사 측은 화석산지를 제외하고 부분준공을 받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내달 초까지 업종변경 절차를 완료해 분양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정촌 뿌리산단사업과 화석산지 문제로 그간 갈등을 빚어온 만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주시의 적극적 의지가 요구된다는 의견이 나온다. 진주시는 뿌리산단의 40% 지분을 가졌음에도 그간 산단 조성터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강주토성 유적지와 정촌 화석산지 보존문제에 적극적 대처를 하지 않았다. 또한 진주시는 화석산지 보존처리 비용과 부지매입비 등에 대해 소극적 태도를 보여왔다.

 

▲ 좌(고성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우(고성 공룡박물관)

진주시가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선 고성군의 사례처럼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행정행위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고성군은 2004년 고성군수를 대표로 법인을 설립해 공룡엑스포를 유치했다. 또한 고성군은 예산 380억여 원을 들여 2만7000평 부지에 공룡테마파크를 조성했고, 2005년에는 예산 120억여 원을 들여 국내 최초로 공룡박물관도 지었다.

고성군은 공룡 엑스포 한 회당 평균 15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 2000억 원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내고 있다. 인구 5만에 불과한 고성군이 대한민국 공룡수도, 세계3대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로 불리며 세계 속에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이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