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민족반역행위자에 대한 관용적 태도가 만든 일"

진주 8경 가운데 하나인 뒤벼리에 음각된 민족반역자들의 악행을 알리기 위해 1999년 12월28일 뒤벼리 앞에 세워진 ‘민족반역자 안내판’이 누군가에 의해 훼손됐다.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는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지적하고, “민족반역자를 두둔하는 시민을 고발한다”고 밝혔다. 

 

▲ 훼손된 민족반역자 안내문(사진 = 민족연구소 진주지회)

10일 현재 뒤벼리 아래에 설치된 ‘민족반역자 안내판'은 누군가에 의해 뽑혀져, 도로변에 아무렇게나 방치돼 있는 상황이다. 안내판 일부는 락커 등으로 인해 훼손됐다. 이에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는 “반제국주의 항일투쟁의 심장이었던 진주에서 최근 벌어진 친일미화 공연(KBS ‘가요무대’) 등 민족반역행위자에 대한 관용적인 태도가 ‘민족반역자 안내판’훼손 등으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10일 ‘민족반역자 안내판’ 훼손 사건을 경찰에 수사의뢰하고, 그 이유에 대해 “민족반역행위자에 대한 무관용의 원칙을 다시 한 번 진주시민들에게 명확히 알리기 위해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족반역자 안내판’ 훼손과 같은 참담한 일이 다시 벌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사회 각계의 명확한 입장발표가 필요하다”며 진주시에도 이와 관련한 입장 발표를 요구했다.

한편 뒤벼리 절벽 앞에 세워진 ‘민족반역자 안내판’은 ‘뒤벼리 민족반역자 이름 처리를 바라는 시민의 모임’이 1999년 12월28일 시민들의 후원을 받아 뒤벼리 벽면에 음각된 민족반역자들의 악행을 고발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안내판에는 뒤벼리 벽면에 음각된 이재각, 이재현, 성기운의 친일 행위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 10일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사진 =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

- 민족반역자 안내판 전문 -

“이재각, 이재현, 성기운은 민족 반역자입니다.”

여기 뒤벼리는 진주8경의 하나로 옛날부터 남강의 명승지로 알려졌습니다. 1930년대 이후 일제와 민족반역자들이 더렵혔습니다. 일제에 부역하면 이름이 새겨진 바위처럼 영구히 빛나리라는 생각에서, 경술국치를 맞게 한 천인공로할 반역자와 그 친족 이름까지 이곳에 새겼던 것입니다.

이재각은 일왕으로부터 후작 작위와 수백억원에 해당하는 15만원의 은사금을 받았고 일장기가 그려진 훈장을 받았습니다.(국사대사전, 인명대사전) 이재현은 군수와 관찰사 재임 중 조선말에 일어난 애국의병들을 회유, 토벌, 재판한 주동자였습니다.(고종·순종실록, 관보) 성기운은 경남 전남 충청관찰사로서 의병을 토벌, 재판했고, 일왕으로부터 수백억원에 해당하는 15만원의 은사금과 남작 작위를 받았던 대표적인 일제 부역자였습니다.(매일신보, 사법휘보)

이들 민족반역자의 이름을 제거하기에 앞서 민족정기를 회복하고 교훈으로 삼고자 그들의 반역행위를 담은 안내판을 시민의 힘으로 세웁니다.

1999년 12월 28일

- 뒤벼리 민족반역자 이름 처리를 바라는 시민의 모임 -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