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과 후폭풍

박근혜 게이트 향한 분노,

군·읍·면 단위까지 확산…규모 작지만 높은 '열기'

 

'박근혜 게이트'로 촉발된 현 '촛불 집회'가 이전에 없던 특징을 보이고 있다. 1만·10만·100만과 같은 대규모 집회만이 아니라, 군·읍·면 단위로 확대되어 동네 곳곳에 촛불이 켜지고 있다. 분노·상실·자괴감 표출, 그리고 주권자로서 행동하는 '촛불'이 일상화된 것이다.

 

▲ 24일 오후6시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가 열렸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이명박 정부 집권 초기였던 2008년 광우병 문제로 '촛불 집회'가 이어졌다. 당시에는 대규모 집회 중심이었다. 서울 광화문 일대는 최대 70만 개 촛불로 뒤덮였다. 전반적으로 경남 지역민도 서울 투쟁에 힘을 보내려는 분위기가 강했다. 또한, 도내 촛불집회는 창원·마산·진주·김해·사천·거제·양산 등 상대적으로 큰 지역 중심으로 열렸다. 군 단위에서는 일상화되지 않다가 특정 집중일에 참여하는 정도였다. 주최 또한 진보사회단체 중심이었다.

지금은 주민이 주체가 되어 마을 단위로 촛불을 드는 분위기가 강하다.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주민은 지난 10일·17일에 이어 24일에도 삼계사거리에서 촛불집회를 열었다. 통합 창원시는 여전히 창원·마산·진해라는 지역적 개념이 남아 있어 세 개 지역에서 각각 촛불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마산지역 내 더 세분화된 마을 단위 촛불까지 더해지는 것이다. 엄마 손을 잡은 꼬마 아이, 교복 입은 학생에서부터 머리 희끗희끗한 노인까지, 참여자가 거의 이 지역민이다. '이웃이 함께하는 촛불'이라는 정서가 깔려 그 어느 촛불보다 끈끈한 유대감이 느껴진다. 이들 내서 지역주민 800명은 시국선언에 참여하기도 했다.

김해 진영읍 주민도 나서고 있다. 김해에서는 오는 26일 오후 5시 내외동 거북공원에서 촛불집회가 열리고, 27일 오후 6시 서어지공원(보건소 앞)에서 진영읍민 중심의 촛불집회가 한 차례 더 열린다.

의령·함양·창녕 등 비교적 인구가 적은 군 단위에도 촛불이 꺼지지 않고 있다. 이들 지역은 주로 농민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50~100명 단위로 비교적 많지 않은 인원이지만, 촛불 열기만은 뒤처지지 않는다. 함안에서는 지난 18일 가야읍 경남은행 맞은편에서 촛불집회가 열렸는데, 비가 내리는 악조건에도 100여 명이 자리를 지켰다.

이번 주에도 경남에서는 산청군을 제외한 17개 시·군에서 촛불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지주형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광우병 때는 여론이 양분된 측면이 있었지만, 지금은 국론이 통일되다시피 하고 있다. 분노 정도가 워낙 크기도 하다"며 "그렇다 보니 지역에서 '모이자'라고 나서는 이가 많아지면서 자연스레 분산된 형태로 촛불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