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느낌 '빨강'시원한 느낌 '파랑'...주변 색깔 따라 실제 몸에도 영향 끼쳐

너무 덥다. 이렇게 오랫동안 이렇게까지 더운 적이 있었나 싶은 생각이 든다. 그러다 보니 백화점과 같이 에어컨으로 기온을 낮게 해 놓은 곳이나 계곡과 같이 시원한 바람이 부는 곳을 찾아가는 사람이 많다.

더운 것을 느끼는 것은 기온의 영향이 가장 크지만 주변의 색깔과도 관계가 있다. 빨간색은 불을 연상시키는 색깔로 더운 느낌이 나고 파란색은 바다를 연상시키는 색깔로 시원한 느낌이 난다.

색채심리학의 대가인 일본 도요대학의 노무라 교수가 색깔에 따라 더위와 추위를 느끼는 것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했다. 노무라 교수는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한 그룹은 전체가 빨간색으로 칠해진 방에 들어가게 하고 한 그룹을 파란색으로 칠해진 방에 들어가게 했다. 그리고 바꾸어 들어가게도 했다.

실험 결과는 방의 색깔은 덥거나 추운 것을 느끼는 데 실제로 작용한다는 것이었는데, 심리적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람의 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었다. 빨간 방에 있으면 근육이 긴장되고 피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땀이 나게 되고, 파란 방에서는 반대로 근육이 이완되고, 피부 온도와 땀 분비는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이런 결과가 나온 이유는 빨간색 방에서는 더운 느낌, 파란색 방에서는 시원한 느낌이 들게 되고, 심리적인 것이 결국 실제 몸에 영향을 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노무라 교수는 심리가 작용하여 몸이 반응을 한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한 가지 더 실험을 해 보았다. 참가자의 눈을 가려서 자신이 있는 방이 빨간 방인지 파란 방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앞과 같은 실험을 한 것이다. 실험 결과 놀랍게도 눈을 가려도 색깔을 보고 있는 것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눈으로 색깔을 보지 않았는데도 빨간 방에서는 근육이 긴장되고 피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땀이 난 것이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정확한 답은 아무도 모른다. 과학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은 것이므로 확실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다른 비슷한 예에서 우리가 모르고 있는 어떤 메커니즘이 작용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는 있다.

몸 색깔이 변하는 것으로 유명한 카멜레온을 생각해 보자. 카멜레온은 주위 색깔과 자신의 피부 색깔을 비슷하게 만들어서 자신을 숨기는 동물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카멜레온 눈은 색깔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눈으로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면서도 주위의 색깔에 따라 자기 몸 색깔을 바꾸는 재주를 가진 것이다.

카멜레온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방법으로 색깔을 감지하는 것일까? 아니면 색깔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피부색을 주위 색깔과 맞추는 방법이 있는 것일까? 카멜레온 정도는 아니지만 사람의 피부도 우리 눈으로는 볼 수 없는 빛에 의해 색깔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해수욕장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구릿빛 피부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검게 변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눈은 자외선을 감지하지 못한다.

빛은 그 자체로 에너지이고 우리가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빛은 아주 일부분뿐이다. 눈으로 빛을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빛은 우리의 몸에 작용을 하고 있다. 단지 어떤 작용을 하는지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살아가는 데 사용하는 에너지는 그 근원이 태양에서 온 빛이다. 태양으로부터 엄청난 에너지를 받고 있는 여름, 더위를 피하려고만 하지 말고 쏟아지는 에너지를 즐기려는 마음을 가져 보는 것은 어떨까?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